연관 글
- [기획] - 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1 - 시작하기
- [기획] - 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2 - 서비스 개요
- [기획] - 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3 - IA (Infromation Architecture)
- [기획] - 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4 - 주요 서비스 프로세스 (Main Process)
- [기획] - 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5 - 메뉴트리 (Menu Tree)
- [기획] - 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6 - 공통 규칙 (Common Rule)
공통 규칙(Common Rule) 란
- 공통규칙은 워딩 그대로 본 기획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규정하는 행위입니다.
공통 규칙 작성 목표
기획서를 읽을때 별도의 부연 설명없이 동일한 규칙으로 동작하는 내용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
디자인 / 개발 진행 시 명확한 컴포넌트화(Component)가 가능하도록 하여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
여러 기획자가 협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(설계 오류)를 줄일 수 있습니다.
공통규칙 작성 방법
- 공통규칙은 작성자의 성향에 따라 여러가지 내용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유형은 아래와 같이 나뉠 수 있습니다
- 기획서 내 Wording에 대한 정의
- eg. 서비스 이용약관, 개인정보 처리 방침등 약관 관련 사항은 "약관 컨텐츠" 로 통일한다
- 기획서 내 인터렉션에 대한 정의
- eg. 스와이프 , 드래그의 표현 방법
- UI 동작 관련 사항에 대한 정의
- eg. 모든 네트워크 통신과정에서는 시작 시 별도의 indicator를 출력하며 통신이 완료되면 indicator 레이어를 사라지도록 처리한다
- 데이터 표현 방법에 대한 정의
- eg. 날짜를 표현하는 방법은 모두 공통적으로 yy.MM.dd 의 형태로 출력한다
- 기획서 내 Wording에 대한 정의
이번 글에서도 토이프로젝트로 진행하는 스터디 매칭 플랫폼으로 예시를 작성해보겠습니다
정리
공통규칙은 간단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한 줄로 요약하면 공통규칙은 기획 '정책'수립 과정이다
- 기획서 및 기획 설계에 있어 기준이 될 수 있는 '정책'을 수립합니다.
- 이 작업을 통해 협업 구성원 간 Align을 맞추기 위함입니다.
참고
- 개인적으로 작성자의 경우 공통규칙은 데이터 타입을 위주로 작성하는 편입니다.
이어지는 글
- 이어지는 글에서는 상세 기획에 대해 작성될 예정입니다
본 블로그 글은 작성자의 기준에서 작성된 내용이며 참고용으로만 이용해주세요
'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5 - 메뉴트리 (Menu Tree) (0) | 2021.03.03 |
---|---|
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4 - 주요 서비스 프로세스 (Main Process) (0) | 2021.03.02 |
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3 - IA (Information Architecture) (1) | 2021.02.27 |
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2 - 서비스 개요 (0) | 2021.02.24 |
기획서(스토리보드) 작성 방법 | 01 - 시작하기 (0) | 2021.02.24 |